2025년 4월 7일
전/체/기/사 세/정/뉴/스 세/무/사/회/소/식 컨/텐/츠
세/금/문/제
조세전문가인 세무사에게 !
  [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세정뉴스
조세뉴스
국세/지방세
예규/판례
국제조세
사회ㆍ경제
기타
세무사회소식
신문보기(PDF)
회무
인터뷰
제언ㆍ기고
회원동정
기획
특집
상담사례
동호회소식
용어해설
연중기획
신간안내
컨텐츠
생활ㆍ문화
관련부처 소식
사람과사람
커뮤니티
공지사항
네티즌여론조사
 
홈>컨텐츠>생활ㆍ문화
 [조회: 1132]
'70년만의 폭우' 서울 끄떡없었다
[연합뉴스 2009-7-16]
2주간 553㎜…인명.재산피해는 미미


 
최근 1940년 이후 단기간에 최대량의 폭우가 쏟아진 서울지역에서 이렇다 할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 눈길을 끈다.

  

16일 서울시와 기상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4일까지 서울지역에는 2주 동안 총 553㎜의 비가 쏟아졌다.

  

이는 1940년 같은 기간에 924㎜가 내린 이후 최대치로, 1971년 이후 30년간 서울지역의 평균 강우량(148㎜)의 3.7배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2일과 9일, 12일, 14일에는 80~221㎜의 집중 호우가 내려 관악구 등 일부 지역은 시간당 50㎜이상의 강우량을 보였고, 한강의 물살도 자료가 보존된 1999년 이후 가장 빨랐던 것으로 분석되는 등 각종 기록을 갈아치웠다.

  

그러나 이 같은 징검다리식 스콜성 '물폭탄'에도 불구하고 서울지역의 피해는 미미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강변의 경우 지대가 가장 낮은 반포지역에서 나무 26그루와 잔디 140㎡, 보도블록 일부가 유실된 것을 제외하곤 뚝섬, 여의도, 망원, 광나루 등의 지역에선 토사와 쓰레기가 쌓이는 정도의 피해만 발생했다.

  

시내 주택가에도 저지대를 중심으로 일부 침수가 있었지만 곧바로 복구됐고, 인명피해도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과거 집중호우 때마다 커다란 피해가 나고 복구를 되풀이한 것과 대비된다.

  

서울지역에선 지난 2001년 7월14일부터 이틀간 310㎜의 폭우가 쏟아져 인명피해 144명(사망 40명, 부상 104명), 주택 침수 9만375채, 584억원의 재산손실을 입었다.

  

또 1998년 8월7일부터 이틀간 378㎜가 내려 인명피해 45명(사망 19명, 부상 26명), 주택 침수 4만256채로 514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시는 이번에 수해가 크게 줄어든 것은 철저한 수방대책과 치밀한 대응이 유효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6천790억원을 투입해 빗물펌프장 19곳을 신설하는 등 수해방지 능력을 높였다.

  

또 2007년부터 내년까지 4년간 총 1조23억원을 들여 빗물펌프장 41곳 확충, 하천 제방 28㎞ 보강, 하수관로 750곳 정비 등의 수해예방 사업을 벌이고 있다.

  

아울러 장마철을 앞두고 한강과 지천 등 36개 하천과 빗물펌프장, 취약시설 등에 대해 정기적인 점검을 벌여왔다.

  

특히 시와 25개 자치구에선 기상 상황에 따라 3천~6천여명의 인력이 비상근무를 하면서 정보 공유를 통해 비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송경섭 서울시 물관리국장은 "한강변의 경우 시설물을 하천 흐름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는 등 지역별 특성에 맞춰 정비해 비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수해예보 시스템을 과학화하는 등 수방대응 능력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조회: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