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8일
전/체/기/사 세/정/뉴/스 세/무/사/회/소/식 컨/텐/츠
세/금/문/제
조세전문가인 세무사에게 !
  [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세정뉴스
조세뉴스
국세/지방세
예규/판례
국제조세
사회ㆍ경제
기타
세무사회소식
신문보기(PDF)
회무
인터뷰
제언ㆍ기고
회원동정
기획
특집
상담사례
동호회소식
용어해설
연중기획
신간안내
컨텐츠
생활ㆍ문화
관련부처 소식
사람과사람
커뮤니티
공지사항
네티즌여론조사
 
홈>세정뉴스>예규/판례
 [조회: 3123]
법원 "기준시가로 증여세 신고한 세무사 책임 없어”

 

 

 

세무사가 증여세를 신고하면서 실제거래가액 대신 기준시가로 신고해 의뢰인이 추가과세를 받았더라도 그 책임을 질 필요는 없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서울고법 민사21부(김주현 부장판사)는 "증여세 자진신고 때 세무사의 과실로 세금을 더 냈다”며 A씨와 A씨의 아들이 세무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원고패소 판결했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재판부는 "세무사가 매매사례가 없던 서초구 S아파트의 세무신고를 처리하면서 기준시가를 기준 삼은 것은 위법하지 않다”며 "세무사가 신고 3개월 전후에 매매사례가 발견될 것을 예상하고 시가감정을 통해 신고해야 한다는 원고들의 주장은 이유없다”고 판결했다.


또한 재판부는 ‘세무사가 신고대상 아파트의 가격을 4억200만원이 아니라 5억5000만원 또는 6억원으로 신고했다면 세무관청이 가격을 부인해 추가과세를 부담하는 일이 없었을 것'이라는 원고들의 주장에 대해서도 "세무사는 조세 신고의 대행과 상담 등을 행할 뿐이지 의뢰인이 상속세법을 피할 수 있는 가격을 찾아 신고할 의무는 없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A씨는 지난 2005년 이씨와의 상담을 거쳐 S아파트와 이 아파트 증여세 납세분 7100만원을 아들에게 증여하기로 결정했다.


이 때 세무사는 거래가 뜸한 S아파트의 세무신고를 하면서 증여재산가액을 2005년도 기준시가인 4억200만원으로 평가했고, 관할 세무서는 해당 아파트의 소유권 이전등기일을 기준으로 3개월 전후에 같은 아파트가 7억7000만원에 거래된 사실을 발견하고 A씨와 A씨 아들에게 1억1946만원을 추가과세했다.

 

 

세무사신문 제536호 (2010.7.16)

 

 [조회: 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