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8일
전/체/기/사 세/정/뉴/스 세/무/사/회/소/식 컨/텐/츠
세/금/문/제
조세전문가인 세무사에게 !
  [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세정뉴스
조세뉴스
국세/지방세
예규/판례
국제조세
사회ㆍ경제
기타
세무사회소식
신문보기(PDF)
회무
인터뷰
제언ㆍ기고
회원동정
기획
특집
상담사례
동호회소식
용어해설
연중기획
신간안내
컨텐츠
생활ㆍ문화
관련부처 소식
사람과사람
커뮤니티
공지사항
네티즌여론조사
 
홈>컨텐츠>생활ㆍ문화
 [조회: 1262]
저시력증, 방치말고 적극 치료해야"
[연합뉴스 2010-08-25]

 

황반변성이나 당뇨망막병증 등으로 저시력클리닉을 찾는 50~60대 환자의 비율이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시력이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라식수술 등의 방법을 써도 교정시력이 0.3 이하인 상태를 말한다. 2008년 기준으로 국내에 등록된 시각장애인은 22만여명인데, 이중 70~80%가 저시력 환자로 추정되고 있다.

중앙대병원 안과 문남주 교수팀은 1995~2008년 사이 중앙대병원과 국립의료원을 방문한 저시력 환자 681명(평균 33.8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10대 환자의 비율(18.1%.123명)이 가장 높았지만, 최근 10년치 통계만 보면 중·노년층 저시력 환자의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의료진에 따르면 1995년 5월부터 1999년 4월까지 병원을 찾은 저시력 환자는 총 350명이었는데 이 중 50~69세 환자의 비율은 14.9%(52명)로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1999년 5월에서 2008년 12월까지 병원을 방문한 331명만 놓고 보면 같은 연령대의 환자 비율이 30.2%(100명)로 증가했다.

저시력의 주요 원인으로는 시신경위축이 전체 환자의 28.2%(192명)로 가장 흔했으며, 사물과 색을 구별하는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황반 부위에 이상이 생겨 시력이 감퇴하는 황반변성이 20.7%(141명)로 그 뒤를 이었다.

눈에 띄는 것은 황반변성 환자의 비율이 1999년 16.6%(58명)에서 2008년 25.1%(83명)로 증가했고, 당뇨 망막병증 환자의 비율도 6.3%(22명)에서 8.5%(28명)로 늘었다는 점이다.

이번 분석결과는 대한의학회지 8월호에 실렸다.

문남주 교수는 "노인 인구가 늘면서 황반변성이나 당뇨망막병증 등으로 재활치료를 받은 50대 이상 저시력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저시력증은 현미경이나 망원경, 프리즘안경 등의 다양한 보조기구를 통해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아직도 많은 시각장애인이 이러한 혜택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조회: 1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