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9일
전/체/기/사 세/정/뉴/스 세/무/사/회/소/식 컨/텐/츠
세/금/문/제
조세전문가인 세무사에게 !
  [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세정뉴스
조세뉴스
국세/지방세
예규/판례
국제조세
사회ㆍ경제
기타
세무사회소식
신문보기(PDF)
회무
인터뷰
제언ㆍ기고
회원동정
기획
특집
상담사례
동호회소식
용어해설
연중기획
신간안내
컨텐츠
생활ㆍ문화
관련부처 소식
사람과사람
커뮤니티
공지사항
네티즌여론조사
 
홈>세정뉴스>사회ㆍ경제
 [조회: 600]
[내수활성화] '올해는 9일 연휴?'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은
[2017-02-23 연합뉴스]
정부 "현재로써는 전혀 검토 안해"…내수활성화 방안서도 빠져
정부가 23일 조기 퇴근을 유도하는 내용 등 다양한 내수진작책을 쏟아내자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월 첫째 주는 1일 노동절, 3일 석가탄신일, 5일 어린이날이 각각 월·수·금요일이어서 화요일과 목요일만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최장 9일의 황금연휴가 완성된다.

이런 이유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5월에도 정부가 임시공휴일을 또 지정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올 초부터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정부가 지난해 5월 5일 어린이날과 주말인 7∼8일 사이에 있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고 내수진작책을 시행해 적지 않은 경제효과를 본 터라 소비절벽에 고민하는 정부가 올해도 임시공휴일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논리다.

잠잠했던 5월 임시공휴일에 대한 관심은 정부가 매달 하루를 '가족과 함께하는 날'로 정해 단축 근무를 유도하겠다는 내수진작책을 발표하면서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부는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대해 아직 검토할 단계가 아니라며 손을 내젓고 있다.

5월까지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있어 지금 당장 검토할 단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결정은 연휴를 열흘 정도 앞둔 4월 26일에서야 최종 확정이 됐다.

임시공휴일 지정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경제효과 분석, 사회 각계 여론 수렴 등도 사전에 거쳐야 한다.

특히 조기 대선 가능성 등 정치·사회적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도 현 시점에서 임시공휴일 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당장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최종 결정에 따라 상반기 대한민국 전체의 스케줄이 완전히 뒤바뀔 수 있는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너무 큰 상황이어서 현재로써는 5월 임시공휴일 지정을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조회: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