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9일
전/체/기/사 세/정/뉴/스 세/무/사/회/소/식 컨/텐/츠
세/금/문/제
조세전문가인 세무사에게 !
  [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세정뉴스
조세뉴스
국세/지방세
예규/판례
국제조세
사회ㆍ경제
기타
세무사회소식
신문보기(PDF)
회무
인터뷰
제언ㆍ기고
회원동정
기획
특집
상담사례
동호회소식
용어해설
연중기획
신간안내
컨텐츠
생활ㆍ문화
관련부처 소식
사람과사람
커뮤니티
공지사항
네티즌여론조사
 
홈>세정뉴스>조세뉴스
 [조회: 662]
"ISA 가입제한 줄이고 세제혜택 정비해야 활성화"
[2017-06-25 연합뉴스]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
한 계좌에 예금·펀드, 파생결합증권 등 여러 금융상품을 담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활성화하기 위해 세제혜택을 단순하게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국민저축수단으로서 ISA 정착을 위한 정책방향'이라는 보고서에서 "ISA의 제도적 복잡성이 활성화에 제약요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ISA의 제도적 문제로 의무가입 기간(3∼5년)을 설정하고 가입대상을 소득이 있는 사람과 농어민으로 제한한 점을 들었다.

또 세제혜택이 가입자의 소득수준과 소득금액에 따라 달라지는 점이 ISA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ISA 상품은 의무가입 기한이 지나면 손익을 따져 소득수준 등에 따라 200만∼25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부여된다.

보고서는 "ISA를 장기적으로 발전시키려면 세제혜택을 확대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세제지원을 통합·단순화함으로써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ISA가 모델로 삼은 영국 제도의 발전과정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영국 ISA는 1999년 도입된 이후 상품구성의 단순화와 연간 저축한도 확대를 통해 국민 42%가 보유한 국민저축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2008년부터 연간 저축·투자 한도를 제외하고는 전체 세제혜택 한도, 저축·투자기간 등에 대한 제한을 철폐했다.

우리나라 ISA는 작년 3월 저성장·저금리 시대에 대비한 재산형성 수단으로 도입됐지만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해 4월 말 현 기준으로 ISA의 총 가입계좌는 230만개이고 총잔고는 3조8천437억원이다.

도입 초기에는 금융회사들의 판촉활동으로 빠르게 성장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가입자와 가입금액이 정체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ISA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비상경제대책단장이던 5월 8일 가입대상을 확대하는 '신형 ISA'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조회: 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