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6일
전/체/기/사
세/정/뉴/스
세/무/사/회/소/식
컨/텐/츠
세/금/문/제
조세전문가인 세무사에게 !
[전체기사보기]
전체기사
세정뉴스
조세뉴스
국세/지방세
예규/판례
국제조세
사회ㆍ경제
기타
세무사회소식
신문보기(PDF)
회무
인터뷰
제언ㆍ기고
회원동정
기획
특집
상담사례
동호회소식
용어해설
연중기획
신간안내
컨텐츠
생활ㆍ문화
관련부처 소식
사람과사람
커뮤니티
공지사항
네티즌여론조사
홈>>전체기사
[조회: 2820]
'위험↓수익↑' P2P 투자방법은…"분산투자·매월 재투자"
[2017-09-19 연합뉴스]
렌딧, 25개월간 투자 데이터 분석
P2P 금융회사인 렌딧은 위험은 낮추고 수익은 높이는 P2P 투자를 하기위해서는 투자금을 잘게 분산해 투자하고 매월 재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19일 렌딧은 2015년 7월 11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25개월간 모집한 13만3천871건의 P2P투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적은 금액으로 잘게 쪼개 분산투자할수록 세율이 낮아졌다.
P2P의 경우 대부업으로 분류돼 이자 수익의 27.5%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그러나 세법에 따라 10원 미만 단위의 세금은 절사 되기 때문에 적은 돈을 많은 채권에 나눠 투자하면 그만큼 채권당 이자 수익이 작아 절사 되는 세금도 늘어나
절세
효과를 낼 수 있다.
렌딧의 분석결과 총 200만 원을 투자할 때 100개 이하의 채권에 분산하면 실효세율이 23.8%였지만 300개를 초과하면 14.8%로 줄어든다.
또 100개 이하의 채권에 분산하면 원금 손실 가능성은 6.3%였지만 300개 넘게 채권에 나눠 투자하면 원금 손실 가능성은 0.3%로 줄었다.
이 밖에도 P2P에 투자한 후 매월 받는 수익금을 매번 재투자하면 월 복리 효과를 누려 수익률이 올라갔다.
김성준 렌딧 대표는 "앞으로도 실질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투자 고객이 더욱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렌딧 투자 채권 수에 따른 원금 손실 가능성 [렌딧 제공]
[조회: 2820]
기사검색